1. 여성탈모의 원인
여성분에게서 머리카락이 점점 가늘어지고 모발 수가 줄어들기 시작하는 증상으로 대부분 윗머리 부위에서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남성 탈모와는 다르게 앞머리선이 뒤로 가는 것처럼 보이지는 않지만 머리 빠짐의 부위가 완전한 머리카락의 소실로 진행하지는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여성 탈모의 원인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이 되고 있습니다. 남자들처럼 유전적인 요소와 임신, 출산, 폐경 등의 호르몬의 변화 사회 환경적 요소로 인한 스트레스, 불규칙한 식습관과 영양 부족, 자주 하는 염색, 과도하게 머리를 묶어(똥머리, 사과머리, 포니테일) 두피에 자극을 주어 모근이 약해지는 원인으로 탈모가 생길 수 있습니다.
2. 여성 탈모 치료법
여성탈모 치료법은 원인에 따라 다양하며 치료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1) 약물 치료
프로페시아 : 주로 남성의 전립선 비대증이나 탈모를 치료하기 위해 개발된 약물이지만 여성 탈모에도 사용되고 있지만 임신 중인 여성이나 가임기 여성에게는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스피노놀락톤 : 주로 사용처는 심부전, 간경변성 복수, 고혈압 치료제로 저칼륨혈증에 대한 보조적인 치료약으로도 활용되고 있으며 항안드로겐 작용을 통해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을 증가시키고,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억제하여 탈모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미녹시딜 : 정수리 탈모에 효과적이며 탈모 치료제로 아주 유명하며 가장 오래된 약입니다. 미녹시딜은 고혈압약을 연구하는 도중에 시험하는 대상자에게서 털이 나는 부작용으로 인해 용도를 바꾼 약이라고 합니다. 미녹시딜은 모발을 자라나게 하는데 촉진시키는 기본적인 효과가 있으며 두피에 바르는 외용제를 가장 많이 사용하며 두피에 바르게 되면 미녹시딜이 두피에 침투해 모낭을 자극하여 두피 내 혈류 기능을 자극해서 모낭을 튼튼하게 하고 발모를 촉진시켜서 자연스러운 모발의 성장을 돕고 있습니다.
[탈모]
분당서울대병원 <예약하기> |
서울대병원 <예약하기> |
경북대병원 <예약하기> |
중앙대병원 <예약하기> |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예약하기> |
부산대병원 <예약하기> |
단국대병원 <예약하기> |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예약하기> |
2) 미용 치료
레이저 요법 : 머리 두피에 레이저 조사하여 혈액 순환을 도와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원리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레이저 치료는 모낭 세포의 발전소 역할을 하는 미토콘드리아를 활성화해 모발 성장을 촉진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으며 모발이 굵어지고 모발 수도 증가합니다.
전기치료 : 전기 자극을 이용하여 머리 두피의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모발 성장을 촉진시키는 치료법입니다. 두피에 전기 자극을 하여 머리 모낭에 성장을 촉진시키고, 두피의 혈액 순환을 개선하여 모발 성장을 도와주도록 합니다.
3) 수술 치료
모발이 빠진 부위에 다른 부위의 모발을 이식하는 방법으로, 탈모가 심한 경우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성 탈모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모발이 가늘어지면서 숱이 적어지는 전형적인 탈모의 유형이므로 모발 이식 수술이 다소 어려운 과정입니다.
3. 여성 탈모 예방법
올바른 영양 섭취 : 건강한 머리카락을 위해서는 올바른 영양 섭취가 필수적이며 비타민 B, 비타민 C, 철분, 아연 등이 머리카락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양섭취를 하도록 합니다
스트레스 관리 : 탈모의 원인 중 하나로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해 운동, 명상, 취미 활동 등을 하며 스트레스를 해소하도록 합니다.
미용 시간 조절 : 자주 하는 염색과 과도한 머리 묶기 등은 두피와 모발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미용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두피와 모발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합니다.
건강 관리 : 전체적인 건강 상태가 좋아야 머리카락도 건강하게 자라나고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운동과 수면과, 균형 잡힌 식습관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생활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장 필요한 지원 제도인 방문형 의료 돌봄 서비스와 방문 진료 병원 및 한의원 찾기 (62) | 2023.08.30 |
---|---|
난청의 원인과 증상, 검사 및 치료방법과 예방법 (67) | 2023.08.29 |
위장질환으로 생기는 증상과 예방법 알아보기 (101) | 2023.08.26 |
방사능에 오염된 오염수, 공기, 음식이 노출되어 발생하는 신체의 증상과 질병은? (159) | 2023.08.24 |
특정한 물질에 과민 반응하는 알레르기 아나필락시스(Anaphylactic shock)증상 알아보기 (6) | 2023.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