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건강

신경인지장애, 치매로 발생되는 자주 빈번하게 과거일을 깜빡깜빡 기억을 못하는 경우가 의심된다면?

반응형

1. 신경인지장애, 치매 증상

혹시 깜빡 깜박하거나 예전에 있었던 일을 기억을 못 하는 경우가 자주 빈번하게 있지 않으세요? 처음에는 얘기했던 말들을 되묻게 되고 최근에 있었던 일들을 잊어버리고 좀 더 시간이 지나면 밥을 먹었는데 기억을 못 하거나, 사람을 만났는데 잊어버리거나 합니다. 하지만 처음에는 주변 가족, 개인에 관한 정보들은 기억하고 있는데 시간이 지나면 이마저도 잊어버리게 됩니다. 말을 하려는데 단어가 생각나지 않고 아.응.이것.저것.그거라고 말씀하거나 말이 막히는 증상이 생깁니다.

원광대학교의과대학병원
<예약하기>
조선대학교병원
<예약하기>
전북대학교병원
<예약하기>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예약하기>
전남대학교병원
<예약하기>

처음엔 모르다가 점차 진행이 되면 말 표현 능력이 떨어지고 말수도 없어지고 상대편의 말도 이해하기가 힘들어 지게됩니다. 시간과 장소에 대한 기억력이 떨어지고 기념일이나 중요한 날도, 시간과 자고 일어나면 낮과 밤도 혼동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익숙하지 않은 장소에서는 길을 잃어 찾지 못하는 일도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주변 사람에 대한 인지능력도 떨어져 알아보지 못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는 직장생활을 하기가 다소 어려워지며 밥 먹기, 생리적 활동, 개인 활동등 기본적이 일도 못 하게 됩니다. 의욕이 없어지게 되고 환각, 수면장애, 우울증, 성격 변화 등 정신행동 증상이 보이며 몸이 경직되면서 거동이 힘들며 다른 합병증도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가톨릭대학교서울성모병원
<예약하기>
서울대학교병원
<예약하기>
강북삼성병원
<예약하기>
서울아산병원
<예약하기>
건국대학교병원
<예약하기>
연세대학교강남세브란스병원
<예약하기>
경희대학교병원
<예약하기>
연세대학교세브란스병원
<예약하기>
고려대학교고대구로병원
<예약하기>
중앙대학교병원
<예약하기>
고려대학교안암병원
<예약하기>
한양대학교병원
<예약하기>
삼성서울병원
<예약하기>
이화여대부속목동병원
<예약하기>

2. 신경인지장애, 치매 원인

치매(알츠하이머)라는 병이 왜 생겨나는지는 잘 알려지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가족력, 유전적 요인이 전체의 반을 차지하는데 병을 앓았던 사람이 그렇지 않는 사람보다 발병률이 높아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베타 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이 많이 발생하여 뇌에 쌓여 나쁜 영향을 주는 것이 핵심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만 다른 타우 단백질도 뇌세포 손상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아포지단백이라는 유전자가 있는데 이 유전자를 없는 사람보다 가지고 있는 사람이 알츠하이머의 걸릴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다른 요인은 연세가 많은 분은 발병위험이 증가 하는 65세 이상으로 병이 두배 이상 증가 하는 현상이 발견되었습니다. 

 

치매

3. 신경인지장애, 치매 진단 및 치료와 예방법

우선 환자의 상태나 보호자를 통해 상태가 어떤지 이야기를 듣고 검사를 시행하도록 하여 인지능력 평가를 합니다. 치매로 의심이 된다면 더 정확한 검사(주변의 일상적인 일)를 하여 일반 사람들과 비교 알아가며 능력이 정말로 떨어졌는지 진단합니다. 원인을 찾기 위해 피검사, 뇌 MRI 검사를 실시하며 원인을 발견하면 그것에 맞게 치료를 시작하게 됩니다. 모든 병의 나쁜 곳에 포함되어있는 술을 가급적 삼가시고 규칙적인 운동과 금연, 몸에 도움이 되는 좋은 음식을 섭취하며 책 읽기, 다양한 취미활동, 기술 배우기, 게임, 바둑 등 뇌 자극에 필요한 건전한 활동을 하면 도움이 됩니다.

경북대학교병원
<예약하기>
부산대학교병원
<예약하기>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예약하기>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예약하기>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예약하기>
인제대학교부산백병원
<예약하기>
영남대학교병원
<예약하기>
경상대학교병원
<예약하기>
울산대학교병원
<예약하기>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예약하기>
동아대학교병원
<예약하기>
삼성창원병원
<예약하기>

 

4. 신경인지장애, 치매에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

불포화지방산으로 구성이 된 좋은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높여서 혈액, 혈관 내를 깨끗이 하고 동맥경화 및 혈관도 튼튼하게 유지해줍니다. 견과류(아마 씨, 잣, 땅콩, 아몬드, 호두 등)를 자주 섭취하도록 간식 대용을 이용하면 좋습니다. 올리브유와 들깨 기름은 뇌세포를 구성하는 리롤렌산이 풍부하며 치매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엽산이 다량 함유된 푸른색 채소와 색상이 강한 과일(토마토, 블루베리, 건포도, 딸기)등이 좋으며 오메가3이 풍부한 삼치, 꽁치, 고등어도 자주 섭취하도록 합니다. 가급적 삼가야 할 음식으로는 포화지방산이 많이 포함된 음식과 식품(햄버거, 치킨, 과자, 마가린, 삼겹살), 술과 담배는 멀리 피하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