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킨슨병의 원인과 정의
파킨슨병은 대부분 특발성에 의하여 발병이 되면 약 10%만 유전에 의해서 발병이 되고 있습니다. 뇌의 도파민 신경계가 파괴되는 원인에 대해서는 정확한 이유는 발견하지는 못하였지만 환경적인 유인 일산화탄소, 머리의 손상, 미량의 금속에 대한 독소, 중금속 오염 등으로 발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는 추측만이 있습니다. 파킨슨병은 뇌의 도파민(우리가 원하는 대로 몸을 움직여 줄 수 있게 하는 신경전달의 물질)의 신경이 점점 파괴되면서 몸의 행동이 잘 움직일 수 없는 장애가 나타나는 현상을 말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파킨슨병이라는 것을 알지 못하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도파민 쪽의 신경이 소실된 후에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파킨슨병은 치매 다음으로 나타나는 뇌질환 중 하나입니다.
2. 파킨스병의 증상과 진단
파킨슨병은 움직면서의 증상과 비움직임의 증상으로 나타나며 모두 다 나타나는 증상이 발현될 수 있습니다. 그중 움직임의 증상 중에는 근육이 점점 굳어지며 조이거나 당기는 느낌과 통증이 나타나는 현상과 허리, 두통, 다리 저림과 통증이 나타나는 현상이 나타나 고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생기며 몸에 경기를 일으키는 떨림증상이 나타나며 그런 증상이 계속되면 움직임과 행동이 느려져서 얼굴의 표정과 팔의 움직임, 신발을 신을 때의 어색한 자세, 밥을 먹을 때에 느릿느릿한 행동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점점 몸의 균형을 유지 못하고 구부정한 자세를 유지하다가 쓰러지게 되며 이런 경우는 대부분 병이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에서 발현이 되는 증상 중에 하나입니다. 비움직임의 증상으로는 수면장애가 생겨 불면증이 생기게 됩니다. 수변 중에 행동장애 주기적으로 잠을 못 자게 만드는 행동과 램수면 시에는 잠꼬대를 하는 경우가 늘어나서 기면과 많은 졸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소변도 야간에도 자주자주 빈뇨가 흔하게 나타나 수면의 질을 저해하게 합니다. 제일 큰 영향으로는 사물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인지저하가 발생되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불안감과 우울증, 환각증상등 신경 쪽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대부분의 환자들은 이로 인해 우울증을 겪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파킨슨병을 진단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은 아직 없고 전문이의 상담으로 진단하며 뇌 PET 또는 MRI촬영을 하도록 합니다.
3. 파킨스병의 치료와 도움을 주는 음식들
파킨슨병의 치료 방법은 약물과 운동을 동반한 치료입니다. 약제에는 도파민 효현제와 레보도파 등이 있으며 레보도파라는 약이 가장 대중적이고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약제를 많이 사용하게 되면 얼굴을 흔드는 이상한 행동에 대한 운동증상의 합병증이 발병할 수 있어 이런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하게 되는데 감각기능이 이상함을 유발하여 비정상적인 신호를 차단하는 뇌심부자극술이란 수술을 하게 됩니다. 운동치료에는 몸을 곧게 펴면서 근력을 강화시키면서 이동을 하면 여러 가지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운동이 매우 좋아 지속적으로 꾸준히 하도록 합니다. 파킨슨병을 예방하는데 좋은 음식은 딸기, 사과와 차를 마시면 도움이 됩니다. 딸기와 사과에는 심장 질환과 고혈압, 암등에 예방효과가 있는 플라보노이드라는 성분인데 음식을 많이 먹는 남자한테 발병률이 줄어들어 많은 효과를 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생활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족저 근막염이 생기는 원인과 예방법 알아보기 (0) | 2023.08.06 |
---|---|
짧은 다리와 작은 손발이 특징인 유전이 없어도 발생하는 연골형성저하증이라고 진단을 받으면? (0) | 2023.08.02 |
기관지가 좁아지면서 여러 가지 호흡 질환으로 발생되는 천식이란? (0) | 2023.07.30 |
단백질속에 퓨린이 분해 되면서 나오는 요산을 배출하지 못해 생기는 통풍이란? (0) | 2023.07.26 |
귀에 대한 증상 중에 림프관이 부어 오르면서 생기는 희귀병 메니에르 증후군 알아보기 (0) | 2023.07.25 |